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명을 나누는 일, 헌혈에 대해 알아보자

by Mingss00 2017. 12. 2.

길을 가다보면 혈액이 부족하니 피를 구한다는 팻말을 들고 서있는 분들이 계십니다. 거의 어딜가나 볼 수 있으니 얼만큼 혈액이 부족한지 짐작할 수 있는데요. 현대의학이 아무리 발전했다 하더라도 인공혈액은 만들 수 없으니, 수혈이 필요한 환자는 많아지고 헌혈로 얻을 수 있는 피는 점점 부족해집니다. 헌혈이란 건강한 사람에게서 필요한 피를 뽑아내는 일입니다. 인위적으로 혈관에 상처를 내서 피를 뽑아낸다는 것은 죽어가는 사람의 목숨을 살리는 일에 대한 헌혈자 개개인의 고귀한 희생이며 의미있는 일입니다. 


전 세계 일부 국가에서는 혈액을 돈으로 사고파는 매혈이 존재하고, 우리나라도 1980년까지 매혈을 하였으나 1981년 7월 1일 대한적십자사가 혈액관리업무를 전담하면서 매혈이 줄어들기 시작하였습니다. 대한적십자사만이 독점하고 있는 체계에 문제점이 지적되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한적십자사와 한마음혈액원 두 곳에서 헌혈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할 수 있는 가장 고귀하고 아름다운 일..바로 생명을 나누는 일이 아닐까 싶은데요. 오늘은 헌혈에 대해 샅샅히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헌혈의 필요성


혈액은 혈관을 따라 순환하면서 우리 몸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 등을 운반합니다. 우리몸의 혈액량을 체중의 1/12~1/13정도이며 전체 혈액량의 20%이상을 소실하면 위험하고 30%를 소실하면 생명을 잃을 수 있다고 합니다. 


- 헌혈은 수혈이 필요한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유일한 수단입니다. 혈액은 아직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거나, 대체할 물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 생명을 사고 팔 수 없다는 인류 공통의 윤리에 기반하여, 세계 각국은 혈액의 상업적 유통을 법으로 규제하고 있습니다.

- 헌혈한 혈액은 장기간 보관이 불가능합니다.(농축적혈구 35일, 혈소판 5일) 따라서 적정 혈액보유량인 5일분을 유지하기 위해 헌혈자분들의 지속적이고 꾸준한 헌혈이 필요합니다.

- 우리나라는 수혈용혈액의 경우 자급자족하고 있지만, 의약품의 원재료가 되는 혈장성분의 경우 외국으로부터 수입을 하고 있습니다.

- 외국으로부터 수입하지 않고 혈액을 자급자족하기 위해서는 연간 약 300만명의 헌혈자가 헌혈에 참여해야 합니다.

- 우리는 언제 수혈을 받을 상황에 처할지 모릅니다. 건강할 때 헌혈하는 것은 자신과 사랑하는 가족을 위하여, 더 나아가 모두를 위한 사랑의 실천입니다.







헌혈에 대한 오해와 진실







헌혈의 종류와 자격요건


헌혈자는 전혈헌혈과 성분헌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당일 혈액제제별 병원수요량에 따라 간호사가 특정 헌혈종류를 권장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헌혈은 모두 전혈 헌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피를 일정량(여자 320ml 남자 400ml) 뽑아내기 때문에 몸에 가장 무리가 가는 헌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혈을 진행했을 경우 다시 헌혈을 할 수 있는 기간이 2달 후에 가능하게 됩니다. 전혈 헌혈을 제외한 나머지 헌혈들을 성분헌혈이라고 할 수 있는데 혈장 헌혈과 혈소판 헌혈 그리고 두가지 종류를 동시에 뽑아내는 혈소판혈장 헌혈(다종)이 있습니다. 혈소판 헌혈은 시작전 피 검사를 통해 WBC(염증수치)측정을 통해 진행해야 합니다. 혈장 헌혈은 혈소판 헌혈을 하기 위해 염증수치 체크를 통과하지 못한 분들이 하거나 혈소판 헌혈을 할 수 없는 상황일 때 하게 됩니다. 


모든 사람이 헌혈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혈액의 비중이 낮아서 헌혈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혈액 비중이 늘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헌혈 할 때마다 가능 여부를 검사해야 합니다. 그 외에도 질병이 있거나 특정 약을 복욕중일 때도 헌혈이 불가능합니다. 









두 달 간격으로 헌혈해도 무리가 가지 않는 건, 우리 몸의 조절 능력 때문


헌혈을 50회 또는 100회를 돌파하여 표창받은 분들에 대한 이야기가 매스컴에 가끔 등장하곤 한다. 이럴 때 쉽게 가질 수 있는 의문이 “저렇게 자주 피를 빼내더라도 몸에는 아무 탈이 없을까?”, “저런 분들은 얼마나 자주 헌혈을 할까?”라는 것입니다. 헌혈관련 홍보물에서 ”몸에 아무 문제가 없고 건강한 분이라면, 두 달마다 한 번씩 해도 아무 문제 없다.”는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적혈구의 수명은 보통 120일 정도이다. 그러므로 무작위로 피를 빼내면 확률적으로 빠져나간 적혈구의 반은 60일 이내에 파괴될 것이지만, 나머지 반은 60일 이상 수명이 남아 있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헌혈 후 두 달이 지나는 경우 몸 밖으로 빠져나간 적혈구의 반만 회복될 뿐 나머지 반은 보충되지 못한 채 손실되어야 합니다. 그런데도 두 달 만에 또 헌혈을 할 수 있는 것은 우리 몸의 조절 능력 때문입니다. 사람의 몸에서 피가 부족해지면 자동으로 보상 과정이 발동되어 생산능력이 증가합니다. 그러므로 헌혈을하였을 때회복속도가 빨라져 두 달 만에 또 헌혈을 해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헌혈과 수혈 - 꺼져가는 생명을 살린다 (인체기행)




헌혈 후 주의 사항 


헌혈 부위에 붙인 반창고는 최소 4시간 이상 붙이세요. 헌혈 부위에 이물질이 접촉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인데요. 헌혈 당일에는 과격하거나 무리한 신체 움직임을 피하고 헌혈부위에서 피가 나면 팔을 가슴보다 높게 올린 상태에서 지혈이 될 때까지 해당 부위를 누르세요. 

헌혈한 날은 평소보다 물을 3~4잔 더 마시세요. 그리고 헌혈 후 가벼운 샤워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수분 손실이 많은 사우나나 찜질방은 피하세요. 또한 헌혈 후 1시간 이내에는 현기증이나 구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흡연이나 음주도 안하는 것이 좋습니다. 헌혈 후 1~2시간 내에는 운전도 안하는 것이 좋습니다. 

혹시라도 헌혈 후 어지럽거나 구토 등의 증세가 발생하면 바닥에 앉아 무릎사이에 머리를 넣고 잠시 쉬어주세요. 다리를 들어 올린 채로 있는 것도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헌혈을 하게 되면 헌혈 증서를 발급받게 됩니다. 헌혈증서는 헌혈 현장에서 발급되며, 재발급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헌혈증서의 사용방법은 의료기관에서 수혈을 받은 환자가 진료비를 계산시 헌혈증서를 제출하면 수혈비용 중 본인이 부담해야하는 금액 한도내에서 진료비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헌혈 후 1개월 정도 이내에 개인헌혈기록카드에 기입한 주소지로 검사결과 통보서를 발송해줍니다. 

우리모두 생명을 나누는 일에 동참해 봅시다. 


반응형